고프코어 패션이 대세로 떠오르며 바람막이와 같은 아웃도어 의류를 일상복으로 활용하는 소비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고가의 아웃도어 브랜드 대신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조 유통 일원화 SPA 브랜드가 주목받는 가운데 다이소가 시장에 강력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다이소는 3000원에서 5000원대에 판매되는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기존 고가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남성 메쉬 드로즈와 냉감 런닝 플러피 플리스 집업 등 3000원 상품이 완판 행진을 이어가며 만원으로 3종 세트라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창출했다.
다이소의 이지쿨 EASY COOL 의류 라인은 피부에 닿는 순간 시원함을 제공하는 냉감 기능과 흡습속건 풍속 기능을 갖춘 원단으로 제작된다. 티셔츠 바지 등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된 이 라인은 2024년 여름철 냉감 의류로 시장을 공략한 데 이어 2025년에는 상품군을 30여 종으로 확대한 결과 소비자 반응이 폭발적이다. 이러한 성공은 다이소의 규모의 경제를 기반으로 한 가성비 전략과 소비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상품 운영 방식에서 비롯된다.
다이소 아웃도어 의류의 시장 파급력
다이소의 아웃도어 의류 매출은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의류 매출은 전년 대비 34퍼센트 증가했으며 이지웨어 카테고리는 86퍼센트 이지웜 제품군은 48퍼센트 성장했다. 특히 3000원에 판매되는 남성 메쉬 드로즈 냉감 런닝 플러피 플리스 집업은 빠르게 품절되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이러한 상품들은 고가 아웃도어 브랜드의 10만원대 제품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기능성을 자랑하며 가격 장벽을 허물었다.
소비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2025년 4월 등산복 키워드 검색량은 50퍼센트 증가했으며 바람막이와 등산화 검색량은 각각 98퍼센트 87퍼센트 급등했다. 쇼핑 플랫폼 지그재그에서는 등산화 거래액이 전년 대비 362퍼센트 증가했으며 아웃도어 검색량은 133퍼센트 바람막이 검색량은 35퍼센트 늘었다. 이러한 데이터는 아웃도어 패션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이소는 이러한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해 저렴한 가격대의 기능성 의류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다이소의 유연한 상품 운영과 규모의 경제
다이소의 성공 비결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한 가성비 전략과 소비 트렌드에 민감한 상품 운영 방식에 있다. 약 3만 개의 상품을 유지하면서도 주력 상품군은 수시로 교체해 트렌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한다. 매대 배치를 유연하게 조정하며 소비자 니즈를 즉각 반영하는 점이 다이소의 강점이다. 예를 들어 2024년 냉감 의류로 여름 시장을 공략한 데 이어 2025년에는 초냉감 의류를 추가하며 상품 라인업을 강화했다.
다이소는 이러한 전략을 통해 고가 아웃도어 브랜드의 기능성 의류를 3000원에서 5000원대에 제공하며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이지쿨 의류는 냉감 기능뿐 아니라 통기성과 흡수성을 강화한 원단으로 제작돼 아웃도어 활동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활용도가 높다. 소비자들은 고가 브랜드 제품과 유사한 품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어 다이소의 상품에 열광하고 있다.
상품군 | 가격대 (원) | 비고 |
---|---|---|
아웃도어 의류 | 3000~5000 | 냉감 의류 메쉬 드로즈 등 인기 |
건강 보조제 | ~5000 | 비타민 오메가3 등 약 30종 |
K뷰티 제품 | 1000~3000 | Son&Park 색조 발색 밤 등 인기 |
생활용품 | 1000~5000 | 가정용품 문구 스낵 등 다양 |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균형 잡힌 확장 전략
다이소는 현재 1500여 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 중이나 내수시장의 성장 둔화 가능성을 고려해 신규 매장 확대보다는 기존 매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복합쇼핑몰이나 대형 건물에 입점한 일부 매장은 기존 면적의 2배 이상 확장하며 소비자 접근성을 강화했다. 또한 온라인몰 강화를 통해 디지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연매출 4조원을 앞둔 다이소가持续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방식이다.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대형 매장으로의 전환을 통해 상품 진열과 소비자 경험을 개선하며 온라인몰에서는 빠른 배송과 다양한 상품군을 앞세워 소비자 편의를 높이고 있다. 다이소 관계자는 기존 매장의 운영 면적 확대와 온라인몰 강화를 통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건강 보조제와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
다이소는 아웃도어 의류뿐 아니라 건강 보조제 라인업도 확장하며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하고 있다. 2025년 5월 기준 약 30여 종의 비타민 오메가3 등의 건강 보조제를 5000원 이하에 제공하며 가성비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품들은 특히 건강 관리에 관심이 높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다이소의 행보는 주목할 만하다. 미국 유타주 미드베일에 2025년 5월 17일에서 18일 사이 첫 매장을 오픈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는 다이소가 국내 시장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미국 소비자들 역시 다이소의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상품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다이소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이소의 미래와 소비자 기대
다이소는 가성비와 트렌드 민감성을 무기로 아웃도어 의류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3000원에 판매되는 기능성 의류는 소비자들에게 경제적 부담 없이 트렌디한 패션을 즐길 기회를 제공하며 특히 젊은 층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소비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다이소는 지속적으로 상품군을 혁신하고 매장 운영 방식을 개선하며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다채널 전략과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은 다이소가 앞으로도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다이소의 3000원 아웃도어 의류는 단순한 상품을 넘어 가성비와 트렌드가 결합된 새로운 소비 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주요 인용 자료